본문 바로가기
주식/주식 공부

애플 주가 전망 관세폭풍 속 애플 실적 공개 전

by 높푸 2025. 4. 29.
반응형

"버틸 수 있는 기업, 성장할 수 있는 기업은 다르다"

“시장은 항상 묻는다.
'버틸 수 있냐'가 아니라, '성장할 수 있냐'고.

2025년 4월, 애플(AAPL)은
트럼프 관세 리스크라는 예상치 못한 역풍을 맞았다.

  • 중국산 제품에 145% 관세 부과 선언
  • 스마트폰·컴퓨터는 1차 면제됐지만,
  • 반도체 등 핵심 부품에 추가 관세 가능성 여전

그 한가운데서 애플은 2분기 실적을 발표한다.


📈 실적 전망 요약: "버티기는 성공, 성장은 불투명"

항목전망치전년 동기 대비
EPS 1.62달러 ↑ (1.53달러)
매출 942억 달러 ↑ (907억 달러)
iPhone 매출 456억 달러 ↓ (459억 달러)
서비스 매출 267억 달러 ↑ (238억 달러)

📌 이번 실적은 "양호하지만, 완벽하진 않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 트럼프 관세 리스크: 애플이 선택한 '3단계 대응 전략'

✅ 1. 인도 생산 강화

  • 관세 피해를 줄이기 위해
  • 인도에서 iPhone 대규모 생산 → 미국으로 600톤 선출하

→ 중국 의존도 축소 + 관세 리스크 회피 전략


✅ 2.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

  • iPhone 매출 감소는 예상
  • 대신 Mac, iPad, Wearables, Services 매출 증가로 방어

→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통합 수익모델 가속화


✅ 3. 중국 시장 리커버리 기대

  • 최근 분기까지 중국 매출 감소 지속
  • 하지만 이번 Q2에서는 16.8억 달러 → 16.3억 달러 소폭 반등 기대

→ 샤오미·화웨이와의 경쟁 심화에도, 애플 브랜드 파워는 여전히 유효


📉 리스크 체크: 애플이 여전히 넘어야 할 산

🔹 1. 관세 추가 부과 리스크

  • 현재 면제된 스마트폰·컴퓨터도 언제든 관세 부과 대상이 될 수 있음
  • 특히 반도체 관세는 iPhone 제조원가에 직접 타격 가능성

🔹 2. AI 전략 지연

  • 기대를 모았던 Siri AI 업데이트
  • WWDC(6월) 전 발표 예정이었으나 소프트웨어 지연으로 연기

→ 경쟁사 대비 AI 전환 속도 느림 → 장기적 성장성 의문 제기


🧭 지금 애플을 보는 3가지 시선

구분투자 포인트
단기 실적 '양호' + 서비스 매출 증가 → 주가 하방 방어
중기 관세 추가 부과 여부 주시 필요
장기 AI 경쟁력 강화 여부에 따라 성장성 재평가

✍️ "버티는 것도 중요하지만, 혁신 없인 미래도 없다"

애플은 이번 실적에서

✔️ 관세 리스크에 선제 대응했고
✔️ 제품 다변화로 매출을 방어했다.

하지만,

  • 반도체 관세 리스크,
  • AI 전략 지연,
    이 두 가지 변수는 여전히 장기 성장성에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시장은 '버티는 기업'을 존중하지만,
'혁신하는 기업'에만 프리미엄을 준다.

2025년의 애플은
이 둘 모두를 증명해야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