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공인중개사 3개월 핵심만 개인공부 부동산학개론36 - 수익성지수법 PI법

by 높푸 2024. 8. 17.
반응형

수익성지수법 (PI법)은 투자안의 상대적인 수익성을 평가하는 방법 중 하나로, 투자금액 대비 현금유입의 가치를 비교하는 지표입니다. 이 방법은 특히 투자안들의 순현가(NPV)는 같지만 초기 투자금액이 다른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1. 수익성지수(PI)의 개념

  • 수익성지수(PI) = 현금유입의 현재가치(PV) / 현금유출의 현재가치(I, 투자금액)
    • 현금유입의 현재가치(PV): 투자로 인해 발생하는 미래의 모든 현금유입을 현재 가치로 환산한 금액.
    • 현금유출의 현재가치(I): 투자 초기에 투입된 자본의 현재가치, 즉 투자금액.

2. 수익성지수(PI)의 타당성 판단

  • PI ≥ 1: 투자안이 타당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이는 현금유입의 현재가치가 투자금액을 초과함을 의미하며, 투자 수익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 PI < 1: 투자안이 타당하지 않다고 판단됩니다. 이는 현금유입의 현재가치가 투자금액에 미치지 못하므로, 투자로 인한 손실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3. 수익성지수법의 특징

  • 상호배타적 투자안: 여러 투자안 중 하나만 선택해야 할 때, 수익성지수가 1 이상인 투자안 중에서 가장 큰 수익성지수를 가진 투자안을 선택합니다.
  • 순현가법(NPV)와의 차이: 순현가법은 절대적인 수익을 평가하는 반면, 수익성지수법은 투자한 금액 대비 수익을 평가합니다. 이는 작은 금액을 투자해도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경우, 수익성지수법이 상대적으로 더 유리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 가치의 합산 원칙이 적용되지 않음: 수익성지수는 비율로 나타나므로, 개별 투자안의 수익성지수를 더해 전체 수익성지수를 구할 수 없습니다. 즉, PI(A) + PI(B) ≠ PI(A+B).

4. 현가회수기간법

  • 현가회수기간법은 현금흐름을 할인하여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전통적인 회수기간법이 미래 현금흐름의 할인효과를 반영하지 않는 문제를 보완한 방법입니다.
  • 이 방법을 사용하면 투자금 회수에 걸리는 기간을 현가로 계산할 수 있으며, 이는 자본 회수의 위험을 더 정확하게 반영합니다.

요약

  • 수익성지수법(PI법)은 투자안의 상대적 수익성을 평가하는 유용한 방법으로, 투자금액 대비 얼마나 많은 현금유입이 발생하는지를 나타냅니다.
  • 타당성 판단 기준은 PI가 1 이상일 때 투자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며, 상호배타적 투자안 중에서는 가장 큰 PI를 가진 투자를 선택합니다.
  • 현가회수기간법은 할인된 현금을 기준으로 투자금 회수 기간을 계산하여, 더 현실적인 투자 판단을 가능하게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