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주식 소식

9월 8일 - 시간외 상승 특징 종목, 내일이슈, 금일 소식

by 높푸 2020. 9. 9.
반응형

상승종목

1. #폴더블폰 라인업 확대에 따른 감전보호소자 수요 증가 기대감 #휴대폰 #부품 #관련주

- 서울리거

2. 중대본 9월 #셀트리온 #코로나 #치료제 생산 소식

- 바이오톡스텍

- 셀트리온제약

- 대정화금

3. 관계사 에이스바이오메드 코로나 #항체 #진단키트 수출 관련 기대감

- 상지카일룸

4. 원더브라 코로나 불황 속에서도 성장 기대감

- 그리티

5. KIMCo #네이버 신테카바이오 AI센터 코로나 치료제 개발 협력

- 신테카바이오

6. #문재인 대통령 #태양광 #풍력 2025년까지 3배 이상 확대 소식

- SDN

7. #전기차 #배터리 모듈 관련 사업 영역 확대 소식

- 엔브이에이치코리아

8. #삼성 내년 스마트폰 출하량 3억대 상향 추진 #중국 #화웨이 반사이익 전망

- 해성옵틱스

9. #에이치엘비 그룹 항암제 파이프라인 생산기지 가능성

- 메디포럼제약

10. 초록뱀으로 최대주주 변경 및 나노구리 수용액 기술 활용 항바이러스 청정소재 개발 소식

- 스카이이엔엠

하락종목

1. #에이프로젠KIC #에이프로젠 #에이프로젠H&G 흡수 합병 철회

- 에이프로젠H&G

- 에이프로젠KIC

2. 전 대표이사 횡령혐의에 따른 검찰 수사설 조회 공시 요구

- 이엔플러스

https://cmobile.g-enews.com/view.php?ud=2020090820312914124a01bf698f_1&md=20200908212531_R#

[긴급] GC녹십자 셀트리온 코로나 치료제 "가짜뉴스" 기자회견 말실수 긴급 수정

GC녹십자와 셀트리온 주가 폭등을 몰고온 코로나 치료제 상업 대량생산 뉴스는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부본부장의 말 실수에 의해 야기된 해프닝으로 일단 정리됐다. 권 부본부장은 8일 브리핑에서 '상업용 항체 치료제'를 대량생산한다고 발언했으나 이후 방대본이 브리핑 뒤 대량생산하려는 물질이 상업용이 ...

cmobile.g-enews.com

나라가 통수....?

에이프로젠도 그렇고 한국주식은 믿을놈하나 없는


내일의 이슈&테마 스케줄

9월 9일 수요일

1. 강경화 외교부 장관, 아세안 관련 외교장관회의 참석

2. 최종건 외교부 1차관 미국 방문(현지시간)

3. 삼성전자, 갤럭시Z 폴드2 중국 출시 예정

4. 모토로라, 폴더블폰 "모토 레이저 5G" 공개 예정

5. 북한정권수립일

6. KT&G, 궐련형 전자담배 "릴 솔리드 2.0" 출시 예정

7. 8월 고용동향

8. 8월 금융시장 동향

9. 피엔케이피부임상연구센타 신규상장 예정

10. 파티게임즈 상장폐지 예정

11. 핌스 공모청약

12. 비비씨 공모청약

13. 인콘 거래정지(주식병합)

14. 디지탈옵틱 추가상장(유상증자)

15. 아이티엠반도체 추가상장(스톡옵션행사)

16. 이루다 추가상장(스톡옵션행사)

17. 국보 추가상장(BW행사)

18. 대주전자재료 추가상장(주식전환)

19. 시스웍 추가상장(CB전환)

20. 엘앤케이바이오 추가상장(CB전환)

21. 세원셀론텍 추가상장(CB전환)

22. 에이티세미콘 추가상장(CB전환)

23. 젬백스 추가상장(CB전환)

24. 레드로버 추가상장(CB전환)

25. 인스코비 추가상장(CB전환)

26. 지엔원에너지 보호예수 해제

27. THE E&M 보호예수 해제

28. 이엠앤아이 보호예수 해제

29. 뉴보텍 보호예수 해제

30. 美) 7월 구인 및 이직(JOLTs) 보고서(현지시간)

31. 美) 주간 MBA 모기지 신청건수(현지시간)

32. 中) 8월 생산자물가지수

33. 中) 8월 소비자물가지수

34. 日) 8월 공작기계수주(예비치)

35. 日) 8월 광의통화(M2)


코스피 마감시황

- 코스피시장 -

9/8 KOSPI 2,401.91(+0.74%) 삼성전자 강세(+), 개인 순매수(+), 외국인/기관 순매도(-)

밤사이 뉴욕증시가 노동절로 휴장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ECB 저금리 지속 기대감 등에 일제히 상승. 이날 코스피지수는 2,400선을 회복하며 2,402.66(+18.44P, +0.77%)로 상승출발. 장초반 2,407.56(+23.34P, +0.98%)까지 상승폭을 키워 장중 고점을 형성하기도 했지만, 이내 상승폭을 반납해 오전 중 2,391.43(+7.21P, +0.30%)에서 저점을 형성. 이후 재차 상승폭을 확대하며 2,405선을 넘어서기도 했지만, 재차 상승폭을 축소했고 장 마감까지 2,400선을 중심으로 등락을 거듭한 끝에 결국 2,401.91(+17.69P, +0.74%)로 장을 마감. 코스피지수가 종가기준 2,400선을 넘어선 것은 지난 8월14일 이후약 한 달여만임.

한국판 뉴딜 정책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삼성전자가 이틀째 강세를 보이는 등 대형 IT 관련주들이 동반상승한 점이 증시에 호재로 작용.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는 IBM 차세대 CPU 및 엔비디아 신형 GPU 수주에 이어 퀄컴의 5G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스냅드래곤 4시리즈 생산까지 맡게된 것으로 전해짐. 전일에는 美 버라이즌과 7.89조원 규모 5G 장비 공급계약을 공시한 바 있음.

다만,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올해 경제성장률 하향 조정 소식과 美/中 갈등 지속 속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도하면서 상승폭은 제한된 모습.

한편,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오전 0시 기준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136명을 기록했다고 밝힘. 국내 발생이 120명, 해외 유입이 16명으로 6일 연속 100명대를 유지했음.

중국, 일본, 대만, 홍콩 등 주요 아시아증시도 일제히 상승.

수급별로는 개인이 359억 순매수,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338억, 219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개인과 기관이 각각 2,475계약, 331계약 순매수, 외국인은 2,875계약 순매도.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1.9원 하락한 1,186.4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2.4bp 하락한 0.949%,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1.7bp 하락한 1.555%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12 틱 상승한 111.78로 마감. 외국인이 2,106계약 순매수, 은행과 금융투자는 1,545계약, 782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28틱상승한 131.93으로 마감. 외국인이 487계약 순매수, 은행은 471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 종목이 다소 우세. LG화학(-1.53%), KB금융(-1.18%), 현대차(-1.18%), NAVER(-1.11%), SK텔레콤(-0.82%), POSCO(-0.53%), 카카오(-0.51%), 넷마블(-0.26%), 삼성바이오로직스(-0.26%), 엔씨소프트(-0.12%) 등이 하락. 반면, 삼성전자(+3.89%)가 이틀째 상승했고, 셀트리온(+4.26%)도 코로나19 치료제 생산 가시화 소식 속에 이틀째 강세. 삼성물산(+1.83%), SK하이닉스(+1.28%), 삼성SDI(+1.28%), LG생활건강(+1.22%), SK(+0.23%) 등도 상승. 현대모비스와 기아차는 보합 마감.

업종별로는 하락 업종이 우세. 기계(-2.57%), 섬유의복(-1.29%), 화학(-1.20%), 증권(-1.00%), 의료정밀(-0.99%), 종이목재(-0.88%), 건설업(-0.80%), 운수창고(-0.58%), 전기가스업(-0.50%), 은행(-0.47%), 운수장비(-0.43%), 금융업(-0.38%) 등이 하락. 반면, 전기전자(+3.03%), 제조업(+1.24%), 보험(+1.01%), 음식료업(+1.00%), 유통업(+0.76%), 의약품(+0.75%)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PI 2,401.91P(+17.69P/+0.74%)


코스닥 마감시황

- 코스닥시장 -

9/8 KOSDAQ 878.29(-0.07%) 외국인/기관 순매도(-), 개인 순매수(+)

밤사이 뉴욕증시가 휴장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884.72(+5.84P, +0.66%)로 상승 출발. 장초반 880선 아래로 상승폭이 축소되기도 했지만, 이내 상승폭을 키워 오전 장 후반 887.01(+8.13P, +0.93%)에서 고점을 형성. 이후 점차 상승폭을 반납했고 장후반 하락 전환해 874.31(-4.57P, -0.52%)에서 저점을 형성. 장 막판 대부분 낙폭을 만회한 지수는 결국 878.29(-0.59P, -0.07%)로 장을 마감.

최근 지수 상승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 속에 美/中 갈등이 지속된 점이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 특히, 최근 급등했던 일부 그린 뉴딜 수혜 관련주들이 약세를 보임.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도하면서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다만, 개인이 나흘째 순매수하며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습.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830억, 391억 순매도, 개인은1,597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 종목이 다소 우세. 메드팩토(-6.09%), 셀리버리(-5.76%), 케이엠더블유(-5.20%), 에이치엘비(-4.39%), 알테오젠(-2.75%), 에코프로비엠(-1.80%), 솔브레인(-1.57%), 제넥신(-1.42%), 펄어비스(-1.23%), 동진쎄미켐(-1.22%), 스튜디오드래곤(-0.12%) 등이 하락. 반면, 리노공업(+6.03%), SK머티리얼즈(+2.19%), 원익IPS(+1.35%), 셀트리온제약(+1.26%), 씨젠(+1.23%),셀트리온헬스케어(+0.98%), 콜마비앤에이치(+0.48%), 휴젤(+0.22%), CJ ENM(+0.16%) 등은 상승.

업종별로도 하락 업종이 다소 우세. 통신장비(-2.97%), 운송장비/부품(-2.89%), 금속(-1.91%), 의료/정밀 기기(-1.61%), 디지털컨텐츠(-1.49%), 섬유/의류(-1.25%), 기타서비스(-1.16%), 음식료/담배(-0.84%), 건설(-0.69%), 기타 제조(-0.67%), 정보기기(-0.57%), 화학(-0.55%), 일반전기전자(-0.48%), 종이/목재(-0.48%) 업종 등이 하락. 반면, 출판/매체복제(+3.28%), 비금속(+3.16%), 오락/문화(+2.90%), 기계/장비(+1.52%), 운송(+1.45%), IT 부품(+1.30%), 반도체(+1.26%), 인터넷(+1.24%), 통신서비스(+1.20%), 금융(+1.02%), 소프트웨어(+0.81%) 업종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878.29P(-0.59P/-0.07%)


특징 테마 이 슈 요 약

테마시황

▷금일 코스피가 상승했고, 코스닥이 약보합 마감한 가운데, 테마별로는 하락이 다소 우세. 최근 정부의 뉴딜 정책 기대감 등으로 상승했던 #풍력에너지 , # 태양광에너지, #전선 , #전력설비 , #해저터널 ,# 수소차 등의 테마가 하락. 아울러, #탄소효율 그린뉴딜지수 개발 계획 이슈 등으로 상승했던 온실가스(#탄소배출권 ) 테마도 하락. 10호 태풍 하이선이 소멸한 가운데, 태풍 및 장마, 폐기물처리 테마도 하락. 코로나19(음압병실/음압구급차),코로나19(나파모스타트), 코로나19(치료제/백신 개발 등) 등 코로나19 관련주들도 하락. 이 외에 건설기계, 치매, 탄소나노튜브, 석유화학,원자력발전, 그래핀, 비료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반면, 삼성전자의 퀄컴 보급형 5G칩 수주 소식 및 비메모리 부문 성장세 지속 전망 등에 시스템반도체 테마가 상승. 삼성전자의 내년 스마트폰 출하량 3억대 상향 추진 소식 등에 갤럭시 부품주 및 카메라모듈/부품 테마도 상승. 클라우드 관련 기술 성장 기대감 및 정부의 데이터댐 사업 본격화 등에 클라우드 컴퓨팅 테마도 상승. 삼성전자의 버라이즌5G 장비 공급계약 체결 수혜 기대감 지속 등으로 5G/통신장비 테마도 상승 마감. 이 외에 코로나19(혈장치료/혈장치료제), IT 대표주, 지능형로봇/인공지능, 엔터테인먼트, 음원/음반, 반도체 대표주(생산) 등이 상승률 상위를 기록.

시스템반도체 삼성, 퀄컴 보급형 5G칩 수주 소식 및 비메모리 부문 성장세 지속 전망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가 퀄컴의 5G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스냅드래곤 4시리즈 생산을 맡게된 것으로 전해짐. 4시리즈는 중국 샤오미와 오포, 모토로라 등이 구매자로 알려진 중저가형 5G칩으로, 내년 1분기 상용화할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에 지난달 미국 IBM의 차세대 CPU 및 이달 엔비디아의 신형 GPU 수주에 이어 잇따른 수주 소식이 전해지면서 업계전반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음.

▷DB금융투자는 보고서를 통해 삼성전자가 최근 메모리 투자를 축소하는 분위기 속에서도 비메모리 투자는 적극적으로 임하고 있다며, 이 같은 행동이 결국 삼성전자 비메모리 제품의 OSAT를 담당하는 업체들의 수혜로 이어질 것이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금일 엘비세미콘, 네패스, 피에스케이, 하나마이크론 등 시스템반도체 테마가 상승.

갤럭시 부품주/카메라모듈/부품 삼성, 내년 스마트폰 출하량 3억대로상향 추진 소식 등에 상승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내년 스마트폰 출하량을 3억대로 늘릴 것으로 전망된다고 보도했음. 이는 세계 스마트폰 시장이 포화하고 코로나19 팬데믹이 이어지고 있지만, 美 트럼프 행정부의 중국 화웨이 제재에 따른 반사이익이 예상되기 때문인 것으로 전해짐.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미국 제재로 화웨이의 내년 스마트폰 출하량이 올해보다 70% 감소할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이에 따른 반사이익으로 오포와 비보 등 중국 브랜드 업체들은 약 30%, 삼성전자는 약 15% 판매 성장을 전망하고 있다"고 언급했음.

▷이 같은 소식에 금일 파트론, 덕우전자, 옵트론텍, 비에이치 등 갤럭시 부품주/카메라모듈/부품 테마가 상승.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관련 기술 성장 기대감 및 정부의 데이터댐 사업 본격화 등에 상승

▷전일(현지시간) 크레디트스위스에 따르면, 향후 10년간 공급망의 성장은 클라우드와 5G 관련 기술이주도할 것으로 전해짐. 커넥티드 기기와 비디오 애플리케이션 증가, 기업 및 소비자의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확산, 인공지능(AI) 데이터 애널리틱스 가속화로 글로벌 클라우드 IT 인프라 관련 지출은 19년부터 22년까지 3년간 10%의 연평균 성장률(CAGR)을 기록하며 22년 89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알려짐.

▷9월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데이터 댐' 프로젝트의 7대 핵심사업들을 수행할 주요기업 등의 선정 작업을마무리하고, 본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힘. 7대 핵심사업은 클라우드 플래그십 프로젝트, 클라우드 이용바우처 사업,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구축 등으로, 정부는 20년 '데이터댐' 추경 예산으로 4,991억원을 투입할 예정임.

▷이 같은 소식에 다우기술, 파이오링크, 가비아,케이아이엔엑스 등 클라우드 컴퓨팅 테마가 상승.

5G(5세대 이동통신)/통신장비 삼성전자, Verizon 5G 장비 공급계약 체결에 따른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메리츠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전일 삼성전자가 Verizon향 5G 통신장비 공급계약을 공시했다며, 이번 수주가 글로벌 초대형 통신사와 체결한 첫 번째 계약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분석.

▷아울러 향후 인도 Reliance Jio 및 유럽 2~3개 통신사와도 빠른 시일 내에 5G 공급계약을 체결할 것으로 기대되는 등 삼성전자의 네트워크 사업 해외 모멘텀은 이제 시작이라고 밝힘. 이에 따라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 밸류체인 전반에 대한 관심이 요구된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금일 대한광통신, 에프알텍, 전파기지국, 이노인스트루먼트 등 5G/통신장비 테마가 상승.


특징 종목(코스피)

특징 종목 이 슈 요 약

신세계인터내셔날

(031430)

150,000원

(+6.38%) 3분기 실적 개선 기대감 등에 강세

▷DB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2분기 실적을 저점으로 분기 실적 개선 흐름이 예상되며 그에 비해 업종에 대한 관심 하락으로 주가가 상당히 저평가되어 있다고 밝힘.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에도 불구하고 수입 패션과 수입 화장품 부문의 매출 성장세는 비교적 견조한 것으로 보이며, 3분기 이익 비중이 높은 화장품도 실적 개선세가 예상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30,000원[유지]

대한유화

(006650)

153,500원

(+5.86%) 2차전지 분리막 소재업체로 주가 재평가 분석 등에 상승

▷유안타증권은 동사에 대해 2차전지 분리막 소재업체로 주가 재평가되어야 된다고 분석. 특히, Covid19 이후 주력제품인 PE/PP 수익 개선 속에서 2차전지 수혜 소재기업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2차전지 분리막 소재로 사용되는 초고분자 폴리에틸렌(UWPE) 사업가치가 5,000억원으로 재평가될 수 있다고 설명.

▷아울러 UWPE 생산능력은 연산 12만톤(울산 2라인)으로 글로벌 수요량의 50%를 보유하고 있으며, 2020년 생산량은 5 ~ 6만톤 수준에서 2021년 말 ~ 2022년에 풀생산이 예상되고, 2023년에 접어들면 기존 울산 공장의 범용 PE설비 1라인 14만톤 설비를 UWPE로 전환해 시장 성장에 대응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HOLD → BUY[상향], 목표주가 : 140,000원 → 280,000원[상향]

셀트리온/녹십자그룹주 코로나19 치료제 9~10월 생산 가시화 소식에 상승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은 금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셀트리온이 9월부터, GC녹십자가 10월부터 코로나19 치료제 생산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밝힘.

▷권준욱 부본부장은 "(GC녹십자)혈장치료제는 지난 8월20일 식약처로부터 임상2상에 대한 시험계획 승인이 나서 6개 의료기관에서 현재 코로나19 환자를 대상으로 안전성 및 유효성 확인을 진행하고 있다"며, "오늘 임상시험용 2차 혈장제제 생산을 개시하고, 10월 중순에 제제 공급을 완료할 예정"이라고 밝힘.

▷이어 셀트리온이 개발중인 항체치료제와 관련해 "7월17일 식약처로부터 국내 임상1상에 대한 승인을 받은 후 1상에 대한 결과를 완료하고 분석하고 있는 중"이라며, "식약처에서 임상시험계획 2상, 3상을 심사중이며, 9월중에는 상업용 항체, 치료제 대량생산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음.

▷이에 금일 셀트리온과 녹십자, 녹십자홀딩스, 녹십자엠에스, 녹십자랩셀 등 녹십자그룹주가 동반 상승세를 기록.

[종목] : 녹십자홀딩스, 녹십자, 셀트리온, 녹십자엠에스,녹십자랩셀

삼성전자

(005930)

58,700원

(+3.89%) 3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전망 등에 상승

▷DB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2020년 3분기 실적은 매출액 62.9조원(+1.5%, YoY/+18.8%, QoQ), 영업이익 10.0조원(+23.5%, YoY/ +22.5%, QoQ)으로 시장기대치(9.2조원)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 이는 하반기 경제 재개에 따른 (중저가) 스마트폰(7,900만대) 및 TV, 가전의 판매 호조로 IM과 CE 사업부의 영업이익이 3.2조원, 1.0조원 으로 기대치를 뛰어넘는 가운데, 서버 수요 둔화에 따른 우려했던 반도체 부분 실적도 화웨이향 재고 축적 수요 증가 등의 영향으로 선방할 것으로 판단하기때문으로 분석.

▷아울러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생활 습관화로 비대면 IT로의 추세 변화는 일시적이지 않고 지속적일 것이며, 이에 현재 단기적으로 부진한 반도체 사업부 실적도 2021년 상반기를 기점으로 장기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72,000원[유지]

▷한편, 언론에 따르면 동사의 파운드리사업부는 퀄컴이 지난 3일(현지시각) 'IFA2020 스페셜 에디션'에서 공개한 5G 플랫폼 스냅드래곤 4시리즈를 수주한 것으로 전해짐. 4시리즈는 중국 샤오미와 오포, 모토로라 등이 구매자로 알려진 중저가형 5G 칩으로, 내년 1분기 상용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삼성전기

(009150)

143,000원

(+3.62%) 화웨이 반사이익 기대감 등에 상승

▷삼성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 영업이익은 이전 추정치보다 15% 상향한 2,577억원으로 추정한다고 밝힘. 이는 삼성전자의 견조한 스마트폰 출하량 및 화웨이 반사이익으로 인한 MLCC 이익 상향 등 때문으로 분석. 아울러 내년에도 5G 보급과 전기차로의 방향성, 내년 기판 호황 지속, 삼성전자 비메모리 확대 등의 업사이드 시나리오를 생각해 볼 때, 이익의 추가 상향이 가능하다고 밝힘.

▷또한, 동사의 모바일용 MLCC는 글로벌 선도 위치에 있으나 상대적으로 화웨이와 애플 내 점유율이낮으며, 모바일 산업 크기만 유지된다면 화웨이의 시장점유율 하락은 동사에게 긍정적이라고 밝힘. 이어 화웨이 모바일 축소 시나리오는 5G(mmwave) 스마트폰과 통신장비 수요의 증가, 천진 공장 가동과 함께 동사의 내년 매출의 추가 업사이드를 가능하게 하는 요소라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65,000원[유지]

풍산

(103140)

24,550원

(+2.94%) 구리가격과 방산수출의 실적 증가 견인 전망 등에 소폭 상승

▷현대차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구리가격과방산수출이 실적 증가를 견인하며 3분기 별도 영업이익 436억원으로 컨센서스 310억원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특히, LME 구리가격은 현재 6천달러 후반으로 상승하여 신동부문에서 큰 폭의 실적 개선이 예상되고, 미국향 수출 증가로 방산부문의 실적호조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현재 P/B는 역사적 밴드의 하단에 있어 valuation 매력이 충분하다고 분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30,000원[유지]

LG전자

(066570)

85,800원

(+2.39%) 하반기 소비 회복에 따른 매출 증가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유진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으로 상반기 소비가 일시적 둔화세를 보였으나, 3분기부터는 각국 정부의 경기부양책 효과로 영업환경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 특히,하반기 소비 회복 가능성에 따라 동사의 가전(+15% qoq), TV(+59% qoq), 스마트폰(+26% qoq)의 매출 증가가 전망되며, 부진했던 전장사업도고객사 공장 가동 재개 및 신규 프로젝트 양산 시작으로 회복(+78% qoq)될 것으로 전망.

▷한편, 동사의 연간 매출액은 62조2,060억원(-0.2% yoy), 영업이익은 2조7,344억원(+12.2%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85,000원 → 105,000원[상향]

에이프로젠 그룹주 금감원, 에이프로젠 KIC 대상 합병 관련 정정신고서제출 요구 속 하락

▷금융감독원은 전일 장 마감 후 전자공시를 통해 2020년9월1일 에이프로젠 KIC가제출한 증권신고서(합병)에 대한 정정신고서제출을 요구.

▷에이프로젠 그룹사 합병 추진과 관련해 김재섭 에이프로젠 대표는 회사 홈페이지 게시글을 통해 9월1일 제출한 정정 증권신고서 효력이 발생하지 않을 시, 하루빨리 새로운 대안들을 모색하기 위해 즉시 합병을 철회할 것이라고 밝힘.

[종목] : 에이프로젠제약, 에이프로젠 KIC, 에이프로젠 H&G


특징 종목(코스닥)

특징 종목 이 슈 요 약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288330)

42,050원

(+25.34%) 주당 2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에 급등

▷보통주 1주당 2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 공시(기준일:2020-09-23, 상장예정:2020-10-15).

이지케어텍

(099750)

22,800원

(+14.00%) 디지털 뉴딜 대표 과제, 클라우드 플래그십 프로젝트 진행 기업 선정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디지털 뉴딜 정책의 대표 과제인 '데이터댐' 7대 핵심사업 중 '클라우드 플래그십 프로젝트' 진행 기업에 선정됐다고 밝힘. 클라우드 플래그십프로젝트는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가 추진하는 사업으로, 동사는 의료기관 내 환자 대면과 체류 시간 최소화를 위한 서비스 및 클라우드 기반 범용 인터페이스 개발 사업을 추진할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동사의 위원량 대표이사는 "정부에서 집중 추진하는 디지털뉴딜 정책의 핵심사업에 참여하게 돼 뜻깊게 생각한다며, 최신 헬스케어 산업에서 클라우드 등 비대면 기술이 강조되고 있는 만큼, 클라우드플래그십 프로젝트를 성실히 완수해 향상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일자리 창출과 헬스케어 산업 발전에도 기여하겠다"고 밝힘.

스카이이앤엠

(131100)

2,945원

(+13.93%) 초록뱀으로 최대주주 변경 및 나노구리 수용액 기술 활용 항바이러스 청정소재 개발 소식 등에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최대주주가 (주)초록뱀미디어로 변경 공시. 변경 후 최대주주인 (주)초록뱀미디어의 지분 소유비율은 13.27%임.

▷이와 관련, 시장에서는 방탄소년단(BTS) 드라마 제작에 나선 초록뱀미디어와 예능프로 전문제작사로 도약을 추진 중인 동사의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는것으로 전해짐.

▷한편, 일부 언론을 통해 동사가 구리에서 자체 확보한 나노구리 수용액 기술을 활용한 ‘항바이러스 청정소재’를 개발한 것으로 전해지면서 오후장 들어 큰 폭으로 상승.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분무기로 뿌려 생존력을 측정한 결과 구리 표면에서는 최대 4시간까지 생존했으나 마분지는 24시간, 스테인리스는 48시간, 플라스틱은 72시간이 지나야 없어진 것으로 알려진 바 있음.

엘비세미콘

(061970)

10,150원

(+9.38%) 내년 실적회복 기대감 등에 급등

▷DB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코로나19 이후 스마트폰 시장 회복과 5G, AI 등 스펙 강화에 따른 고성능 비메모리 수요 증가로 내년 가파른 실적회복이 기대된다고 밝힘. 삼성전자 비메모리향으로 18년 하반기 DDI, 19 년 하반기 PMIC의 범핑과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진입하면서 현재는 삼성전자가 최대 매출 고객이라고 밝힘. 각각의 사업에서 기존 주력 업체들의 이원화에 성공하며 향후 삼성전자 비메모리 라인 증설과 함께 안정적인 실적 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힘.

▷아울러, 최근 LG디스플레이의대형 OLED 및 중소형 POLED패널 판매 호조에 따른 DDI 실적도 개선되고 있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신규], 목표주가 : 13,000원[신규]

이루다

(164060)

14,900원

(+7.58%) 안정적 성장 지속 기대감에 강세

▷유진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역 다변화 및 제품 다양화를 통한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 이는 글로벌 메디컬 에스테틱 시장이 연평균(2020~2022) 9.3%씩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다양한 제품을 지역적으로 안정적으로 분배한 점과 48개국 60여개 Distributor 및 글로벌 Key Doctor와 강력한 네트워크를 구축했기 때문이라고 밝힘.

▷아울러, 고부가 가치 제품 확대 지속과 소모품 매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수익성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고 밝힘.

파수

(150900)

7,100원

(+6.61%) 금융보안원에 비식별화 솔루션 공급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데이터전문기관인 금융보안원에 개인정보 비식별화 솔루션 '애널리틱디아이디(AnalyticDID)'를 공급한다고 밝힘. 개인정보 비식별화는 몇 가지 정보들로 개개인을 알아보지 못하도록 개인정보를 구성하는 요소들 중 일부를 삭제하거나 범주화 및 암호화해 구체적인 내용을 감추는 조치임. 현재 금융보안원 외에도 국내 결합 전문기관들에 '애널리틱디아이디'를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엠플러스

(259630)

27,050원

(+6.29%) 주당 1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에 강세

▷보통주 1주당 1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기준일:2020-09-24, 상장예정:2020-10-19) 공시.

네패스

(033640)

32,300원

(+5.73%) 고성능 비베모리 수요 증가에 따른 내년 가파른 실적 회복 전망 등에 상승

▷DB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코로나19 이후 스마트폰 시장 회복과 5G, AI 등 스펙 강화에 따른 고성능 비메모리 수요 증가로 2021년 가파른 실적 회복이 기대된다고 전망.특히, 반도체 사업부는 현재 대부분 PMIC를 담당하고 있으며, WLP(Wafer Level Packaging)과 Fan-Out WLP 및 PLP 등 고부가가치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 여기에 삼성디스플레이향 OLED DDI 패키징 및 디스플레이용 현상액 사업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으며, 최근 2차전지용 리드탭 사업도 가파른 성장을 기록하고 있다고 분석.

DMS

(068790)

10,750원

(+5.39%) 총 525.76억원 규모 디스플레이패널 제조용 공정장비 공급계약 체결에 상승

▷Chongqing BOE Display Technology Co., Ltd.와 198.33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0.13%) 규모 공급계약(디스플레이패널 제조용 공정장비) 체결(계약기간:2020-09-08~2021-01-30) 공시.

▷Changsha HKC Optoelectronics Co., Ltd.와 327.42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6.69%) 규모 공급계약(디스플레이패널 제조용 공정장비) 체결(계약기간:2020-09-08~2021-09-08) 공시.

와이지엔터테인먼트

(122870)

57,600원

(+5.30%) 블랙핑크 'HYLT' 뮤비, K팝 최단기간 유투브 5억뷰 달성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블랙핑크의 하우 유 라이크 댓(How You Like That) 뮤직비디오가 8일 오전 3시 51분께 유투브에서 조회수 5억뷰를 돌파했다고 밝힘. 이는 약 73일 만이자 5억뷰 달성 K팝 뮤직비디오 중 최간 기간 기록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에 동사의 자회사로 광고대행업과 MD제조 및 유통판매업을 영위하고 있는 YG PLUS도 급등 마감했음.

삼천당제약

(000250)

55,700원

(+5.29%) 유럽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독점판매권 및 공급계약 체결 기대감 분석 등에 상승

▷케이프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유럽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독점판매권 및 공급계약 체결이 기대된다고 밝힘. 지난 3월 글로벌 제약사와 사전계약을 체결했으며, 7 월말 VR 시스템으로 공장실사 등을 완료했다며, 현재 최종계약서 일부 조건조율단계로 양측 합의안 도출 시 본 계약 체결이 완료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80,000원[유지]

제이엘케이

(322510)

10,300원

(+5.10%) 3.07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 등에 상승

▷정보통신산업진흥원,(주)피씨엘과 3.07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34.0%) 규모 공급계약(AI 기반 진단키트에서 비정형 이물질 제거를 통한 진단검사 시스템 개발) 체결(계약기간:2020-09-01~2020-12-31) 공시.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전 세계 유일하게 전립선암, 뇌졸중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으며, 폐질환 진단 솔루션 해외 매출 성장에 따른 실적 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힘.

에스씨엠생명과학

(298060)

33,750원

(+4.81%) 러시아 파미멕스JSC와 고순도 중간엽줄기세포 기술 라이선스 아웃 관련 파트너십 양해각서 체결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러시아 파미멕스JSC(Pharmimex JSC)와 고순도 중간엽줄기세포(cMSC) 기술 라이선스 아웃에 대한 파트너십 양해각서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를 통해 양사는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이식편대숙주질환(GVHD) 등 각종 난치병의 잠재적 약물 후보물질을 발굴할 예정이며, 러시아 내에서의 임상 가능성도 검토 중이라고 설명.

세화피앤씨

(252500)

4,055원

(+4.65%) 日 오프라인 유통매장 1천개 돌파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감성코스메틱 브랜드 모레모가 日 돈키호테 84개점과 샹브르 91개점, ZAGZAG 70개점, 스기약국 25개점, 선드럭 50개점 등에 새롭게 론칭해 日 오프라인 판매점 수가 처음으로 1,000개를 넘어섰다고 밝힘.

▷지난 2월 日 로프트(LOFT) 124개 매장에 론칭하면서 일본시장에 진출했고, 日 3대 버라이어티샵과 H&B스토어, 뷰티편집샵 등 日 화장품 시장을 주도하는 20여 대형 유통채널에 잇따라 입점하게 되면서 7개월만에 817% 증가한 1,013개 오프라인 매장에제품을 공급하게 됐다고 설명했음.

휴마시스

(205470)

13,550원

(+4.63%) 인도 코로나19 확진자 급증 속 인도 대사관과 코로나19 진단키트 공급계약 체결 사실 부각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인도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이틀 연속 9만명 넘게 나오면서 누적 확진자가 42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전해짐. 이는 하루 확진자수로는 세계 최다이고, 누적 확진자 수는 브라질을 제치고 세계 2위를 기록함.

▷이 같은 소식에 인도 대사관과 코로나19 항체 신속진단키트 공급계약을 체결한 바 있는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코이즈

(121850)

1,230원

(+2.50%) 종속회사 남경고일지광전유한공사, 중경고일지광전유한공사 흡수합병 결정 속 소폭 상승

▷종속회사 남경고일지광전유한공사가 경영효율성 증대 및 운영효율 개선을 통한 경쟁력 제고를 위해 중경고일지광전유한공사 흡수합병 결정했다고 공시(합병비율 1:0).

엘앤씨바이오

(290650)

132,000원

(+2.25%) 인체조직 기반 의료기기 및 중국시장 진출에 따른 성장 기대감에 소폭 상승

▷한화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인체조직 기반 의료기기와 중국시장 진출로 큰 폭의 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힘. 내년 하반기 이후 타 치료제 대비 빠른 일상 복귀와 무릎연골성형화/회복, 가격 경쟁력 등의 장점을 갖춘 MegaCarti의 큰 폭 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힘.

▷중국시장 진출과 관련해서는 화상, 유방재건, 퇴행성 관절염 등 동사 관련 시장이 국내 대비 약 20배 크다고 밝힘. 엘앤씨바이오 차이나 투자로 인한 CICC(중국 정부 산하 최대 IB)와 전략적 관계 형성(빠른 제품 인허가 승인 및 유력 마케팅 파트너 유치 가능), 실질 경쟁자 부재 등을 고려해볼 때 큰 폭의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전망.

제넨바이오

(072520)

5,430원

(-8.12%)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에 약세

▷전일 장 마감 후 공시번복(유형자산 취득결정(종속회사의 주요경영사항) 철회)으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공시.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종 목 상한가

일수 사유

세진중공업

(075580)

11,150원

(↑29.95%) 2 #그린뉴딜 정책 수혜 기대감 지속에 상한가

초록뱀

(047820)

2,345원

(↑29.92%) 1 #BTS , 美#빌보드 차트 1위 소식 및 스카이이앤엠 최대주주 등극 소식 등에 상한가

앤디포스

(238090)

8,040원

(↑29.89%) 1 #갤럭시 부품주 #테마 상승 및 정부, 독감·코로나19 동시진단 키트 허가 절차 진행 소식 속 관련 제품 2종 개발사실 부각에 상한가

포스코 ICT

(022100)

5,520원

(↑29.88%) 1 클라우드 관련 기술 성장 기대감 및 정부의 #데이터댐 사업 본격화 등에 클라우드 컴퓨팅 테마 상승 속 상한가

한국유니온제약

(080720)

22,400원

(↑29.86%) 1 #혈장 증량제 원료 국산화 성공 및 혈장치료제 파이프라인 구상계획 등에 상한가

녹십자엠에스

(142280)

19,450원

(+26.71%) 코로나19 치료제 9~10월 생산 가시화 소식에 녹십자그룹주 상승 속 급등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288330)

42,050원

(+25.34%) 주당 2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에 급등

유니슨

(018000)

7,150원

(+19.57%) 그린뉴딜정책 수혜 기대감 지속에 급등

대한광통신

(010170)

4,500원

(+18.73%) 삼성전자, Verizon #5G 장비 공급계약 체결에 따른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5G 테마 상승 속 급등

대신밸런스제6호스팩

(307750)

4,200원

(+16.50%) 국전약품과 스팩합병 예비심사 승인 결정 속 거래재개 사흘째 급등

YG PLUS

(037270)

6,560원

(+15.29%) #블랙핑크 'HYLT' 뮤비, K팝 최단기간 유투브 5억뷰 달성 소식에 급등

옵트론텍

(082210)

7,320원

(+14.73%) 삼성,내년 스마트폰 출하량 3억대로 상향 추진 소식 등에 갤럭시 부품주/카메라모듈/부품 테마 상승 속 급등

데이타솔루션

(263800)

10,250원

(+14.40%) 한국판 뉴딜 정책 수혜 기대감 지속에 급등

녹십자

(006280)

287,000원

(+14.12%) 코로나19 치료제 9~10월 생산 가시화 소식에 녹십자그룹주 상승 속 급등

이지케어텍

(099750)

22,800원

(+14.00%) #디지털 뉴딜 대표 과제, 클라우드 플래그십 프로젝트 진행 기업 선정 소식에 급등

스카이이앤엠

(131100)

2,945원

(+13.93%) 초록뱀으로 최대주주 변경 및 나노구리 수용액 기술 활용 항바이러스 청정소재 개발 소식 등에 급등

파트론

(091700)

11,450원

(+13.37%) 삼성, 내년 스마트폰 출하량 3억대로 상향 추진 소식 등에 갤럭시 부품주/카메라모듈/부품 테마 상승 속 급등

다우기술

(023590)

22,700원

(+13.22%) 클라우드 관련 기술 성장 기대감 및 정부의 데이터댐 사업 본격화 등에 클라우드 컴퓨팅 테마 상승 속 급등

아이텍

(119830)

7,900원

(+12.22%) 삼성, 퀄컴 보급형 5G칩 수주 소식 및 비메모리 부문 성장세 지속 전망 등에 시스템반도체 테마 상승 속 급등

W홀딩컴퍼니

(052300)

303원

(+10.99%) 자회사 초록뱀, BTS 美빌보드 차트 1위 소식 및 스카이이앤엠 최대주주 등극 소식 등에 급등

손오공

(066910)

1,815원

(+10.67%) BTS, 美빌보드 차트 1위 소식 속 BTS 패션돌 판매사실 부각에 급등

에프알텍

(073540)

7,790원

(+10.03%) 삼성전자, Verizon 5G 장비 공급계약 체결에 따른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5G/통신장비 테마 상승 속 급등

해성옵틱스

(076610)

2,010원

(+9.84%) 삼성, 내년 스마트폰 출하량 3억대로 상향 추진 소식 등에 카메라모듈/부품 테마 상승 속 급등

엘비세미콘

(061970)

10,150원

(+9.38%) 시스템반도체 테마 상승 속 내년 실적회복 기대감 등에 급등

하나마이크론

(067310)

8,120원

(+9.14%) 삼성, 퀄컴 보급형 5G칩 수주 소식 및 비메모리 부문 성장세 지속 전망 등에 시스템반도체 테마 상승 속 급등


시간의 힘엔 노력이 필요하다

사람들은 흔히

"시간의 힘"을 믿는다°

시간이 지나면

상황이 나아질 것

혹은

개선될 것이라는 믿음이다°

하지만 노력이 수반되지 않는

시간은 무의미하다°

시간이 먼지처럼 스러지는 대신

힘으로 축적되려면 노력이라는

그물이 매일 촘촘히 엮어야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