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앞으로 자동차 가격은 어디까지 오를까?"
“지금 GM은,
성공적인 1분기를 보냈지만, 미래에 대한 자신감을 잃었다.”
2025년 4월 말,
General Motors(GM)는 시장 기대를 웃도는 1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 매출 +2.3%
- EPS(주당순이익) 예상 상회
하지만,
"연간 가이던스(전망)를 아예 철회"했다.
트럼프 관세 리스크 때문이다.
📈 GM 1분기 실적 요약: 선방은 했지만
항목결과시장 예상 대비
매출 | 440억 달러 | 예상 430억 달러 상회 |
조정 EPS | 2.78달러 | 예상 2.74달러 상회 |
순이익 | 28억 달러 (-6.6% YoY) | 감소 |
📌 GM은
- 트럭·SUV 수요 강세,
- 관세 부과 전 소비자 '선구매' 수요
덕분에 실적을 방어할 수 있었다.
🔥 그런데 왜 가이던스를 철회했나?
트럼프 행정부의 25% 자동차 관세 때문이다.
- 미국 내 판매차량 중 약 절반을 해외 생산
- 자동차 1대당 수천 달러 가격 상승 압력 예상
- 총 연간 1080억 달러 추가 비용 발생 추정
GM CFO는 이렇게 말했다.
"우리는 과거 가이던스를 더 이상 신뢰하지 말라고 공식적으로 알립니다."
🧠 관세 리스크, GM과 자동차 산업에 미치는 영향
✅ 1. 소비자 구매 심리 위축
- 관세 충격으로 차량 가격 인상 불가피
- 미국 소비자 신뢰지수, 2월 이후 급락
- 선구매 수요 이후, 수요 절벽 가능성 경고
✅ 2. 마진 압박
- 완성차 가격 인상에도 원가 증가분을 100% 전가하긴 어려움
- 할인 정책 확대로 수익성 악화 가능성
✅ 3. 투자 지연 및 주주 환원 축소
- GM,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 일시 중단 발표
- 불확실성 해소 전까지 신규 투자 계획 보류 가능성
📊 주가 흐름: Ford 대비 부진한 GM
구분GMFord
2025년 YTD 주가 수익률 | -12% | +3% |
📌 Ford는 미국 내 생산 비중이 높아 관세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었고,
GM은 해외 생산 비중이 커서 타격이 크다.
🧩 GM 투자자라면 지금 주목할 포인트
🔹 1. 5월 1일 업데이트 예정 '새 가이던스'
- 관세 리스크를 반영한 새로운 연간 전망 발표 예정
- 핵심:
- 트럭/SUV 수요 유지 가능성
- 가격 인상 수용성
- 비용 통제 방안
🔹 2. 중국 사업 재편 상황
- 2024년 1분기 적자 → 2025년 1분기 흑자 전환(4500만 달러)
- 중국 사업 안정화 여부도 중장기 주가 방향성에 영향
🔹 3. 트럭 생산 확대 및 전략적 재조정
- 인디애나 공장 트럭 생산 확대
- 관세 영향 최소화 위한 대응책 강구 중
✍️"폭풍 전야의 GM, 방향을 잡아야 한다"
GM은
- 1분기 '선방'했지만
- 관세 리스크 앞에서 '미래 비전'을 일시 중단했다.
지금은 과거 실적이 아니라,
앞으로의 '전략과 대응력'이 주가를 결정할 순간이다.
5월 1일 새 가이던스 발표 이후,
GM 주식은
- "극복 가능성에 베팅"할지
- "관세 충격 장기화에 대비"할지
판가름 날 것이다.
반응형
'주식 > 주식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 주가 전망 관세폭풍 속 애플 실적 공개 전 (0) | 2025.04.29 |
---|---|
화이자 주가 전망은? 과도기를 넘어 반등을 꿈꾼다 (0) | 2025.04.29 |
코카콜라 주가 전망 관세 폭풍 속에서도 웃을 수 있었던 이유 (0) | 2025.04.29 |
주식 RSI 보조지표의 근본적 이해와 적용 방법 - 정의, 계산법, 매매시점, 신뢰도, 다이버전스 분석, 다이버전스의 실패, 역추세 전환 실패, 지지저항 (0) | 2023.06.29 |
시장분석 폭락은 아직 한번더 남았다? 오아시스관련주, 보안관련주 (0) | 2023.0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