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주식 공부

GM 주가 전 실적은 선방했지만 관세 한방에 흔들린다

by 높푸 2025. 4. 29.
반응형

앞으로 자동차 가격은 어디까지 오를까?"

“지금 GM은,
성공적인 1분기를 보냈지만, 미래에 대한 자신감을 잃었다.

2025년 4월 말,
General Motors(GM)는 시장 기대를 웃도는 1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 매출 +2.3%
  • EPS(주당순이익) 예상 상회

하지만,

"연간 가이던스(전망)를 아예 철회"했다.
트럼프 관세 리스크 때문이다.


📈 GM 1분기 실적 요약: 선방은 했지만

항목결과시장 예상 대비
매출 440억 달러 예상 430억 달러 상회
조정 EPS 2.78달러 예상 2.74달러 상회
순이익 28억 달러 (-6.6% YoY) 감소

📌 GM은

  • 트럭·SUV 수요 강세,
  • 관세 부과 전 소비자 '선구매' 수요
    덕분에 실적을 방어할 수 있었다.

🔥 그런데 왜 가이던스를 철회했나?

트럼프 행정부의 25% 자동차 관세 때문이다.

  • 미국 내 판매차량 중 약 절반을 해외 생산
  • 자동차 1대당 수천 달러 가격 상승 압력 예상
  • 총 연간 1080억 달러 추가 비용 발생 추정

GM CFO는 이렇게 말했다.

"우리는 과거 가이던스를 더 이상 신뢰하지 말라고 공식적으로 알립니다."


🧠 관세 리스크, GM과 자동차 산업에 미치는 영향

✅ 1. 소비자 구매 심리 위축

  • 관세 충격으로 차량 가격 인상 불가피
  • 미국 소비자 신뢰지수, 2월 이후 급락
  • 선구매 수요 이후, 수요 절벽 가능성 경고

✅ 2. 마진 압박

  • 완성차 가격 인상에도 원가 증가분을 100% 전가하긴 어려움
  • 할인 정책 확대로 수익성 악화 가능성

✅ 3. 투자 지연 및 주주 환원 축소

  • GM,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 일시 중단 발표
  • 불확실성 해소 전까지 신규 투자 계획 보류 가능성

📊 주가 흐름: Ford 대비 부진한 GM

구분GMFord
2025년 YTD 주가 수익률 -12% +3%

📌 Ford는 미국 내 생산 비중이 높아 관세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었고,
GM은 해외 생산 비중이 커서 타격이 크다.


🧩 GM 투자자라면 지금 주목할 포인트

🔹 1. 5월 1일 업데이트 예정 '새 가이던스'

  • 관세 리스크를 반영한 새로운 연간 전망 발표 예정
  • 핵심:
    • 트럭/SUV 수요 유지 가능성
    • 가격 인상 수용성
    • 비용 통제 방안

🔹 2. 중국 사업 재편 상황

  • 2024년 1분기 적자 → 2025년 1분기 흑자 전환(4500만 달러)
  • 중국 사업 안정화 여부도 중장기 주가 방향성에 영향

🔹 3. 트럭 생산 확대 및 전략적 재조정

  • 인디애나 공장 트럭 생산 확대
  • 관세 영향 최소화 위한 대응책 강구 중

✍️"폭풍 전야의 GM, 방향을 잡아야 한다"

GM은

  • 1분기 '선방'했지만
  • 관세 리스크 앞에서 '미래 비전'을 일시 중단했다.

지금은 과거 실적이 아니라,
앞으로의 '전략과 대응력'이 주가를 결정할 순간이다.

5월 1일 새 가이던스 발표 이후,
GM 주식은

  • "극복 가능성에 베팅"할지
  • "관세 충격 장기화에 대비"할지
    판가름 날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