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인중개사 개인공부 3개월 벼락치기 쌩초보

공인중개사 3개월 핵심만 개인공부 부동산학개론20 - 공업입지론/ 베버의 최소비용이론 / 지역경제기반분석 / 뢰쉬 최대수요이론 / 입지계수 / 경제기반승수

by 높푸 2024. 8. 14.
반응형

공업입지론은 산업의 위치 선정에 관한 이론으로, 특정 산업이 어디에 입지해야 하는지를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들을 포함합니다. 여기서는 베버의 최소비용이론뢰쉬의 최대수요이론을 다룹니다.

1. 베버(A. Weber)의 최소비용이론 

베버의 최소비용이론은 공장이 위치할 최적의 입지를 결정하는 데 있어 수송비를 최소화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고려합니다. 이 이론은 수송비, 노동비, 집적이익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최소 비용이 발생하는 지점에 공업이 입지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1) 입지에 미치는 요인

  • 수송비: 원료와 제품의 무게수송 거리에 따라 결정됩니다. 베버는 수송비가 공장 입지에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보았습니다.
  • 인건비(노동비): 노동력 비용도 고려해야 하지만,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수송비를 최소화하는 지점이 더 중요합니다.
  • 집적력(집적이익): 공장이 집적되어 있을 때 발생하는 이익으로, 여러 공장이 모여 있을 때 발생하는 상호 이익을 의미합니다.

(2) 주요 가정

  • 생산자는 합리적인 경제인으로 가정됩니다. 즉, 비용을 최소화하고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가정입니다.

 

(3) 수송비 결정 요소

  • 수송비원료와 제품의 무게수송되는 거리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수송비를 최소화하려면 원료 산지와 시장 사이의 거리를 고려한 최적의 입지를 선택해야 합니다.

(4) 최소비용 입지

  • 다른 생산 여건(인건비, 집적력)이 일정하다면, 최소의 수송비가 드는 지점에 공장이 입지해야 합니다.

(5) 입지 최적화

  • 수송비는 최소화하고, 인건비는 최소화하며, 집적이익은 극대화하여 생산비가 최소가 되는 지점에 공장이 입지해야 합니다.

(6) 등비용선

  • 등비용선최소수송비 지점으로부터 기업이 입지를 바꿀 경우 발생하는 추가적인 수송비의 부담액이 동일한 지점을 연결한 곡선을 의미합니다. 즉, 기업이 입지를 이동해도 같은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지점들을 연결한 선입니다.

2. 뢰쉬의 최대수요이론

뢰쉬(A. Lösch)의 최대수요이론은 베버의 최소비용이론과는 달리, 수요가 최대가 되는 지점에 공업이 입지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주요 개념:

  • 최대 수요 지점: 뢰쉬에 따르면, 공장은 수요가 최대가 되는 시장에 위치해야 합니다. 이론의 핵심은 비용 최소화보다는 시장 접근성수요 극대화에 중점을 둡니다.
  • 시장 중심 입지: 공장이 소비자에게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함으로써 제품의 판매 가능성을 최대화할 수 있습니다.

입지에 의한 공업단지의 분류는 원료의 종류와 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특징에 따라 공업이 입지하는 위치를 구분하는 기준입니다. 각 산업은 원료의 수급 방식, 노동력, 시장 접근성 등에 따라 특정 지역에 입지하게 되며, 이는 공업의 효율성과 수익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1. 원료지수(M)

  • 원료지수(M) = 국지원료중량 / 제품중량
    • 국지원료: 특정 지역에서만 구할 수 있는 원료로, 수송비에 큰 영향을 받는 원료.
    • 보편원료: 어느 지역에서든 쉽게 구할 수 있는 원료로, 수송비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원료.

(1) 원료지수(M) > 1: 원료지향형 산업

  • 가공 과정에서 중량이 감소하는 산업으로, 원료지에 가까운 곳에 입지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 예시: 시멘트 산업, 통조림 산업(부패하기 쉬운 원료 사용), 특정 장소에서만 생산되는 원료(편재원료)를 사용하는 산업.

(2) 원료지수(M) < 1: 시장지향형 산업

  • 가공 과정에서 제품의 중량이 증가하는 산업으로, 시장에 가까운 곳에 입지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 예시: 맥주, 청량음료 제조(가공 후 중량 증가), 제빵 산업(완제품의 부패성이 심한 경우), 보편원료를 많이 사용하는 산업.

 

(3) 원료지수(M) = 1: 자유입지형 산업

  • 원료와 제품의 중량이 같아, 입지에 대한 특별한 제약이 없는 산업입니다.
  • 예시: 항공기 제조 산업.

2. 노동지향형 산업

  • 미숙련 노동자를 많이 활용하며, 상대적으로 임금이 저렴한 지역에 입지하는 산업입니다.
  • 예시: 의류, 신발, 섬유 산업.

3. 집적지향형 산업

  • 여러 공장이 한 지역에 집적하여 상호작용을 통해 수송비를 줄이고, 생산비를 절감하며 이윤을 극대화하는 산업입니다. 기술 연관성이 높아 계열화가 잘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 예시: 선박, 석유화학, 자동차 산업, IT 산업(예: 판교에서의 IT 산업 집적).

4. 중간지점(이적지점)지향형 산업

  • 수송수단이 바뀌는 지점에 입지하여 수송비를 절감할 수 있는 산업입니다. 이는 물류의 효율성을 높이는 전략적 입지입니다.
  • 예시: 해상 운송에서 육상 운송으로 전환되는 지점, 철도에서 도로로 전환되는 지점에 입지하는 산업.

역경제기반분석은 특정 지역의 경제 구조를 이해하고, 그 지역의 산업이 얼마나 특화되어 있는지, 그리고 지역 전체의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중요한 방법입니다. 이 분석은 입지계수경제기반승수라는 두 가지 주요 지표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1. 입지계수 (LQ: Location Quotient)

 

입지계수는 특정 지역의 특정 산업이 전국 평균과 비교하여 얼마나 특화되어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1) 공식

  • 지역의 특정 산업의 고용 비율: 해당 지역에서 특정 산업에 종사하는 인구 비율.
  • 전국의 동일 산업의 고용 비율: 전국에서 동일한 산업에 종사하는 인구 비율.

(2) 특성

  • LQ > 1:
    • 이 산업은 지역에서 특화되어 있으며, **기초산업(기반산업)**으로 간주됩니다. 이 산업은 해당 지역에서 생산된 재화나 서비스가 지역 외부로 수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LQ < 1:
    • 이 산업은 지역에서 비기반산업으로 간주되며, 전국에 비해 특화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산업은 주로 지역 내에서 소비되는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합니다.
  • LQ = 1:
    • 이 산업은 전국 평균과 동일하게 지역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자급자족 수준에 있는 산업입니다.

2. 경제기반승수

경제기반승수는 특정 지역의 전체 고용기반산업 고용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로, 지역 경제가 얼마나 많은 인구를 고용할 수 있는지를 측정합니다.

(1) 공식

  • 지역 전체 고용 인구: 해당 지역에서 모든 산업에 종사하는 총 고용 인구.
  • 기반산업 고용 인구: 해당 지역의 기반산업(수출 산업)에 종사하는 고용 인구.

(2) 특성

  • 기반활동: 지역 외부로 재화나 용역을 수출하는 생산활동. 이 활동은 지역 경제에 외부 수입을 창출하여 지역 경제를 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 비기반활동: 지역 주민의 소비를 위한 생산활동. 이 활동은 주로 지역 내 수요를 충족시키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 경제기반승수가 클수록: 해당 지역의 기반산업이 더 많은 인구를 고용할 수 있으며, 이는 지역 경제의 규모와 성장 잠재력을 나타냅니다. 기반산업의 성장은 비기반산업의 성장을 촉진하여 지역 전체의 경제 성장을 이끌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