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주식 소식

미국 생물보안법 통과가 국내 바이오 산업에 미치는 영향 바이오관련주

by 높푸 2024. 9. 11.
반응형

 

반응형

1. 미국 생물보안법이란?

최근 미국 하원을 통과한 생물보안법(Biosecure Act)은 미국 정부가 특정 외국 바이오 기업과의 거래나 협력을 제한하는 법안입니다. 특히 중국 바이오 기업을 겨냥하고 있는데, 이 법안이 상원까지 통과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국내 바이오 기업들에게 큰 기대감이 형성되고 있습니다.

이 법안은 미국 정부가 중국 유전체기업인 BGI 지노믹스, MGI 테크, 우시 바이오로직스 등의 기업들과 거래를 금지하고, 보조금 지원을 차단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2. 국내 기업의 수혜 전망

이 법안으로 인해 삼성바이오로직스를 비롯한 국내 CDMO(위탁개발생산) 기업들이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중국 기업들이 차단되면, 그들의 자리를 대신할 기업으로 한국 바이오 기업들이 주목받기 때문입니다.

  •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미 CDMO 문의가 2배 이상 증가한 상황이며, 글로벌 주요 기업인 론자와 후지필름과의 경쟁 속에서 격차를 줄일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에스티팜은 중국 기업 대신 글로벌 톱 10 제약사의 원료 공급사로 선정되었으며, 이 또한 중국이 차지하던 시장을 대체한 사례입니다.

3. 유리한 경쟁 조건

국내 바이오 기업들은 특히 미국과 유럽 기준을 충족하는 제조설비(CMC)를 보유해야 우시바이오로직스의 빈자리를 메울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에스티팜, 바이넥스, 에스티젠바이오 등은 가격 경쟁력과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유럽 및 비유럽 시장에서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입니다.

 

4. 국내 바이오 산업의 과제

이 법안이 2032년까지 유예 기간을 두고 시행될 예정이기 때문에, 국내 기업들은 당장보다는 중장기적인 준비가 필요합니다. FDAEMA 기준을 충족하는 제조 역량을 확충하고, 미국 시장에 진출할 발판을 마련해야 합니다.

 

국내 기업들이 우시바이오로직스와 같은 대규모 물량을 소화할 능력은 제한적이라며, 인도와의 경쟁 및 미국 내 생산 거점 확보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또한, 일본의 바이오 기업들이 정부의 적극적 지원을 받고 있다는 점을 들어, 한국도 유사한 지원이 필요해보입니다.


관련주 간단 정리

  1. 하이트론
    • 상승 이유: 신약 개발 사업 진출 기대감과 최대주주 변경에 따른 주식 양수도 계약 체결
  2. 영진약품
    • 상승 이유: 중국 중산벨링과 1000억 원 규모의 공급계약 체결. 
  3. 삼일제약
    • 상승 이유: 연말 다양한 모멘텀 기대와 베트남 CMO 공장 가동이 임박했다는 분석 
  4. 티디에스팜
    • 상승 이유: 국내 유일의 '핫-멜트' 공법을 이용한 TDDS(경피약물전달 시스템) 연계 개량신약 패치 개발 가속화

 

의료기기 관련주

  1. 셀바스헬스케어
    • 상승 이유: 미국 부통령 카멀라 해리스의 메디케어 확대 공약에 따라 부각.
  2. 젠큐릭스
    • 상승 이유: 딥바이오와 로슈의 병리 AI 파트너 계약 체결로 주목받았으며, 간암 조기 진단 검사에서 92%의 민감도를 입증
  3. 씨어스테크놀로지, 셀바스AI, 이오플로우: 의료기기 및 헬스케어 관련 종목으로 기술 및 제품 개발에 따른 주목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