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LB는 카이스트 학내 창업기업인 뉴로토브(NeuroTobe)를 인수하며, 파킨슨병 및 난치성 뇌질환 치료제 개발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습니다. 이번 인수로 HLB는 뉴로토브 지분 73.02%를 확보해 최대주주가 되며, 신약 파이프라인을 크게 확장했습니다. 이를 통해 HLB는 항암제뿐만 아니라 뇌질환 치료제 분야에서도 다각적인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1. 뉴로토브와의 인수 배경
뉴로토브는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김대수 교수가 설립한 벤처기업으로, 파킨슨병, 근긴장이상증 등 다양한 신경계 질환에 대한 신약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인수는 HLB가 160억 원에 뉴로토브 주식 549,809주를 취득하며 이루어졌으며, 김대수 교수는 구주매매 대금의 70%를 HLB 자사주로 취득할 예정입니다.
2. 파킨슨병 유전자 치료제 개발
뉴로토브는 파킨슨병 치료를 위한 새로운 개념의 유전자 치료제 NT-3를 개발 중입니다. 이 치료제는 도파민이 사멸하더라도 파킨슨병의 극복이 가능하다는 접근법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뇌의 시상핵에서 발생하는 반발성 흥분신호에 주목합니다. CaV3.1 유전자를 차단하면 도파민 손상 없이도 파킨슨병을 치료할 수 있다는 기전이 동물실험을 통해 입증되었으며, 이 연구는 국제 신경과학 학술지 뉴런에 발표된 바 있습니다.
3. 근긴장이상증 치료제 개발
뉴로토브는 또한 근긴장이상증의 원인과 표적을 규명하여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근긴장이상증은 환자의 의지와 무관하게 근육의 긴장이 증가해 몸이 뒤틀리는 질환으로, 뉴로토브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환자의 뇌에서 세로토닌이 과도하게 분비되면 증상이 악화된다는 점을 발견했습니다. 이에 따라 세로토닌 수용체(5HT-2AR)를 억제하는 방식으로 근긴장이상증을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으며, 이 연구는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게재되어 주목받았습니다.
4. 첫 경구용 치료제 및 임상 진행 계획
뉴로토브는 세계 최초의 경구용 근긴장이상증 치료제를 개발 중이며, 이번 인수 후 임상 1상을 위한 임상시험계획서 신청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해당 질환은 희귀질환으로, 패스트트랙 제도를 활용하면 비교적 빠르게 임상 진행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5. HLB의 신약 개발 역량 강화
HLB는 이번 뉴로토브 인수를 통해 항암제 개발 외에도 뇌질환 및 만성대사질환 분야로 신약 개발 역량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고령화에 따라 뇌질환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이번 인수는 HLB의 장기적인 미래 가치를 높이는 중요한 전략적 결정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정리
- HLB, 카이스트 창업기업 뉴로토브 인수로 뇌질환 치료제 개발 분야 진출.
- 뉴로토브는 파킨슨병 유전자 치료제(NT-3) 및 근긴장이상증 경구용 치료제(NT-1) 개발 중.
- NT-3는 도파민 사멸 없이 파킨슨병을 치료하는 새로운 기전으로, '뉴런(Neuron)' 학술지에 소개됨.
- 근긴장이상증 치료제는 세로토닌 수용체(5HT-2AR)를 타깃으로 개발 중이며,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연구 결과 발표.
- HLB, 이번 인수로 항암제 외에도 뇌질환 및 만성질환 분야로 신약 파이프라인 확장.


'주식 > 주식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끝나가니 왠 매독? 매독관련주 진단키트 (1) | 2024.09.11 |
---|---|
레타트루타이드 비만치료제 새로운 등장 (0) | 2024.09.11 |
24년 상반기 화장품 기업 실적: 순이익 대폭 증가 화장품 관련주 (3) | 2024.09.10 |
트럼프 해리스 첫 티비토론 관련주는? (5) | 2024.09.10 |
중국 드론업체 DJI 사용 금지 법안 통과와 드론 관련주 정리 (1) | 2024.09.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