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수요의 가격탄력성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가격이 변할 때 수요량이 얼마나 변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량적 지표입니다.
계산문제!!
기출 문제 예시:
- 오피스텔 가격이 4% 인상되었고,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2라고 주어졌다면:
2. 수요의 가격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수요의 가격탄력성이란, 가격이 변화할 때 수요량이 얼마나 변화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도를 말합니다. 탄력성이 클수록 수요곡선의 기울기가 완만해지고, 작을수록 기울기가 가파릅니다.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수요곡선
- 탄력성이 클수록: 가격 변화에 대한 수요량의 변화가 크며, 수요곡선의 기울기가 완만해집니다.
- 탄력성이 작을수록: 가격 변화에 대한 수요량의 변화가 적으며, 수요곡선의 기울기가 가파릅니다.
3.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소비자 총 지출액(기업의 총수입액)의 관계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소비자의 총 지출액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 탄력적 수요 (Elastic Demand)
- 가격이 상승하면 총수입이 감소합니다.
- 가격이 하락하면 총수입이 증가합니다.
- 예: 임대료가 상승하면, 임대료 수입이 감소하는 경우입니다. 이는 수요가 가격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 비탄력적 수요 (Inelastic Demand)
- 가격이 상승하면 총수입이 증가합니다.
- 가격이 하락하면 총수입이 감소합니다.
- 이는 가격 변화에 비해 수요량의 변화가 작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단위탄력적 수요 (Unitary Elastic Demand)
- 가격이 상승하거나 하락해도 총수입은 불변입니다.
- 이는 가격 변화에 따라 수요량이 동일한 비율로 변화하는 경우입니다.
㉣ 완전탄력적 수요 (Perfectly Elastic Demand)
- 공급이 증가하면 가격은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거래량은 증가합니다.
- 미세한 가격 변화에도 수요량이 무한히 크게 변하는 상황입니다.
3) 수요의 가격 탄력성의 결정 요인
① 대체재의 유무와 다소
- 대체재가 존재하는 경우, 그 상품의 수요는 더 탄력적입니다.
- 예: 만약 특정 브랜드의 커피 가격이 상승하면, 소비자는 대체재인 다른 브랜드의 커피로 쉽게 전환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해당 상품의 수요는 탄력적입니다.
② 상품 가격이 가계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
- 상품의 가격이 가계 소득에서 큰 비중을 차지할수록 수요의 가격 탄력성은 커집니다.
- 예: 스마트폰처럼 고가의 제품은 가격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③ 생활필수품과 사치품의 차이
- 생활필수품에 대한 수요는 가격 변화에 비탄력적입니다.
- 예: 생필품(빵, 우유 등)은 필수적이기 때문에 가격이 변해도 수요량이 크게 변하지 않습니다.
- 반면, 사치품에 대한 수요는 가격 변화에 탄력적입니다.
- 예: 다이아몬드와 같은 사치품은 가격이 오르면 수요가 크게 감소할 수 있습니다.
④ 부동산의 경우
- 전체 부동산의 수요는 비탄력적입니다. 이는 부동산이 필수적인 자산이기 때문에 가격 변화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 그러나 부동산을 종류별로 나누면 수요가 더 탄력적입니다. 예를 들어, 특정 유형의 부동산(예: 상업용 부동산)의 수요는 가격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 기간
- 장기적으로 볼 때, 수요의 가격 탄력성은 단기보다 더 커집니다.
- 시간이 지나면서 부동산 공급량이 늘어나고, 더 많은 대체재가 등장하기 때문입니다. 장기적으로는 공급이 더 탄력적이 되므로 수요도 탄력적으로 변합니다.
+ 주거용 부동산의 탄력성
- 주거용 부동산은 더 탄력적인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사람들이 주거지를 변경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이 있기 때문입니다.
+ 유형별 용도의 다양성과 용도 전환의 용이성
- 부동산의 용도가 다양할수록 또는 용도 전환이 용이할수록 수요의 가격 탄력성은 더 커집니다.
- 예: 특정 토지가 주거용, 상업용 등 여러 용도로 전환될 수 있다면, 그 토지에 대한 수요는 가격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수요의 소득 탄력성은 소득의 변화에 따라 수요량이 얼마나 변하는지를 측정하는 척도입니다. 이 탄력성은 상품이 정상재인지, 열등재인지, 중립재인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1) 소득의 변화에 대한 수요량의 변화 정도를 측정하는 척도
수요의 소득 탄력성은 소득이 변할 때 수요량이 얼마나 변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2) 수요의 소득 탄력성의 크기
① 탄력성 > 0 : 정상재 (우등재)
- 정상재는 소득이 증가하면 수요량이 증가하고, 소득이 감소하면 수요량이 감소하는 재화입니다.
- 예: 소고기, 고급 가전제품 등.
- 특징: 소득이 증가할 때 정상재의 수요곡선은 우측으로 이동합니다.
- 기출 문제 예시: 만약 A와 B 상품의 수요곡선이 소득 증가에 따라 우측으로 이동한다면, A와 B 모두 정상재로 분류됩니다.
② 탄력성 < 0 : 열등재
- 열등재는 소득이 증가하면 수요량이 감소하고, 소득이 감소하면 수요량이 증가하는 재화입니다.
- 예: 돼지고기, 대중교통 이용 등.
- 특징: 소득이 증가할 때 열등재의 수요곡선은 좌측으로 이동합니다.
③ 탄력성 = 0 : 중립재
- 중립재는 소득이 변화해도 수요량이 변하지 않는 재화입니다.
- 예: 소금, 간장 등 생필품.
- 특징: 소득이 증가하거나 감소해도 수요량이 불변합니다.
요약
- 정상재(우등재): 수요의 소득 탄력성 > 0. 소득 증가 시 수요 증가.
- 열등재: 수요의 소득 탄력성 < 0. 소득 증가 시 수요 감소.
- 중립재: 수요의 소득 탄력성 = 0. 소득 변화와 상관없이 수요 불변.
수요의 교차 탄력성은 한 상품의 수요량이 다른 연관 상품의 가격 변화에 얼마나 반응하는지를 측정하는 척도입니다. 두 가지 상품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대체재, 보완재, 또는 독립재인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1) 수요의 교차 탄력성 정의
- 수요의 교차 탄력성은 **한 상품(X재)**의 가격 변화가 **다른 연관 상품(Y재)**의 수요량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2) 수요의 교차 탄력성의 크기
① 교차 탄력성 (E_I) > 0 : 대체재 관계
- 교차 탄력성이 양수라면, X재의 가격 상승이 Y재의 수요량 증가를 의미하며, 두 상품은 대체재 관계입니다.
- 예: 커피와 홍차. 커피 가격이 오르면 사람들이 홍차를 더 많이 소비하게 되므로, 홍차의 수요량이 증가합니다.
② 교차 탄력성 (E_I) < 0 : 보완재 관계
- 교차 탄력성이 음수라면, X재의 가격 상승이 Y재의 수요량 감소를 의미하며, 두 상품은 보완재 관계입니다.
- 예: 커피와 프림. 커피 가격이 오르면 커피를 덜 소비하게 되어 프림의 수요량도 감소합니다.
③ 교차 탄력성 (E_I) = 0 : 독립재 관계
- 교차 탄력성이 0이라면, X재의 가격 변화가 Y재의 수요량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두 상품은 독립재 관계입니다.
- 예: 커피와 아파트. 커피 가격이 변해도 아파트의 수요량에는 전혀 영향이 없습니다.
요약
- 교차 탄력성 > 0: 두 상품이 대체재 관계임을 의미합니다. (예: 커피와 홍차)
- 교차 탄력성 < 0: 두 상품이 보완재 관계임을 의미합니다. (예: 커피와 프림)
- 교차 탄력성 = 0: 두 상품이 독립재 관계임을 의미합니다. (예: 커피와 아파트)
반응형
'공인중개사 개인공부 3개월 벼락치기 쌩초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인중개사 핵심만 개인공부 부동산학개론13 - 부동산 공급 종류 / 균형가격 / 균형점의 이동 (0) | 2024.08.14 |
---|---|
공인중개사 핵심만 개인공부 부동산학개론12 - 공급이론 공급과공급량 (0) | 2024.08.14 |
공인중개사 핵심만 개인공부 부동산학개론9 - 경제론 수요론 수요이론 수요와수요량 하방경직성 (0) | 2024.08.14 |
공인중개사 핵심만 개인공부 부동산학개론10 - 수요법칙곡선/수요량의 변화와 수요의 변화 / 대체재 / 수요증가요인 (0) | 2024.08.14 |
공인중개사 핵심만 개인공부 부동산학개론8 - 외부효과 (0) | 2024.08.14 |
댓글